[Review] RSA Conference 2019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사이버 위협
최근 보안 위협 트렌드로 무료 온라인 게임이나 게임 커뮤니티가 공격 벡터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이에 관련해 RSA USA 2019에서 발표된 내용이 있어서 간단히 리뷰를 해본다. 무슨 일인가 자세히 살펴봤더니, 무료 모바일 게임의 수익 모델로 사용되는 광고나 인앱결제가 아이들의 심리를 자극한다는 것이다. 게임 상에서 강하고 멋진 케릭터를 키우거나 랭킹에 오르고 싶은 것은 성인이나 아이나 마찬가지 일 텐데, 아이들의 경우 지불 능력이 성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게임 능력을 향상 시켜주는 피싱 광고나 서드파티 앱을 다운 받을 확률이 높다. 해커의 입장에서는 피싱광고나 서드파티 앱을 통해 공격 벡터를 확보할 수 있다. 무심코 아이들에게 스마트기기를 빌려주었다가 해킹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는..
Review
2019. 3. 6. 08:5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광고
- Cyber Threat
- 델파이 분석
- Python
- 델파이 리버싱
- 악성코드 분석
- 애드센스
- REMNux
- 썸네일
- IA-32
- Malware
- Mobile game hacking
- Mobile hacking
- Mobile Security
- 구글
- reversing
- OSX
- Analysis
- 디컴파일에러
- Ghidra
- delphi
- 악성코드
- Mobile security threat
- Android
- build
- AOSP
- Github
- segment
- 티스토리
- 스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